본문 바로가기

교육 관련

[공부 안 하는 학생의 특징] [공부 안 하는 학생의 특징] 작성자: 이범희, 등록일: 2006-06-28 04:37:51.243, 조회수: 3920 [공부 안 하는 학생의 특징] 1. 공부 계획서를 칼라 펜으로 멋들어지게 장식하고 계획서를 보면서 스스로 대견해 한다. (장식용 공부 계획서 만드는데 1주일 걸린다.) 2. 책상에 앉되 주변 정리로 1시간 이상 끌고 실제 공부는 5분을 못 넘긴다. 3. 조금 잠자고 일어나서 공부한다고 결심하고 일어나면 아침이다. 4. 공부가 스트레스를 준다면서 TV나 컴퓨터가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한 소중한 도구로 생각한다. 5. 유명하다고 하는 참고서와 문제집을 모두 구입해서 책꽂이에 꽉 채워놓고 보기 좋게 장식한다. 6. 자신이 공부를 못하는 이유는 우리나라 교육제도가 후진적이라서 그렇다고 믿는다... 더보기
학습동기를 높여주는 공부원리 학습동기를 높여주는 공부원리 지은이 Carol S. Dweck | 차명호 옮김 출판사 학지사 별점 학습동기를 높여주는 공부원리 Carol S. Dweck 지음-차명호 옮김 학지사 SELF-THEORIES “모든 교사와 학부모님들의 필독서” 실체이론(무기력한 반응)과 발달이론(성취지향적 반응) 왜 어떤 아이는 능력이 탁월하지 않은데도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을 즐기며 어려운 문제에 부딪히면 더욱 열심히 노력하는 반면, 어떤 아이는 능력이 뛰어남에도 망설이고 장애에 부딪히면 일찌감치 포기하고 스스로 좌절하는 것일까? 지능은 고정되어 있다 - 실체이론(무기력한 반응) 어떤 사람들은 지능을 고정된 특성이라 믿는다. 특정 양이 있고 그 양에 따라 모든 것이 결정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을 우리는 지능의 “실.. 더보기
학습자의 자존감을 세워주는 교육방법 무엇보다 학습자들이 즐겁게 오도록 일관성있게 하는 말이 있습니다. '혼자 있을 때 더욱 잘해야 한다.'는 의미의 신독(愼獨)을 강조합니다. 누가 본다고 잘하고 안본다고 함부로 하는 것이 아닌 우리는 늘 어제 보다 나은 내일을 열어야 하는 만물의 영장, 사람다운 사람임을 강조함으로써 아이들 스스로 자존감을 갖도록 의도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칭찬은 순간에 머물 수 있다면 자존감을 갖게 하는 것은 칭찬을 뛰어 넘는 효과를 보이기도 합니다. 더불어 학부모님들께도 아이들 스스로가 갖게 되는 자존감을 잘못된 꾸중과 흥분한 상태에서 아이에게 전달되는 사기를 저하시키는 언어들을 최대한 자제해달라고 요청드립니다. 모두가 교육효과를 위해서 하는 것인데 부모와 자녀간의 상호 존중의 자세까지로 발전할 때 제가 가장 큰 보.. 더보기
워드프로세서, ITQ 자격증 합격자 발표 합격자 발표 지난 2007년 11월 ITQ 정보 기술 자격시험과 11월에 시행된 워드프로세서 실기 상설시험에서 아래와 같이 합격하여 자격증을 취득하였기에 알려 드립니다. 워드프로세서 1급 김 현 희 (주엽초, 5) 1급 우 신 애 (대학생) 3급 박 서 영 (성 인) ITQ 한글 B 장 하 은 (발산중, 1) C 김 준 범 (주엽초, 3) ITQ 엑셀 B 김 범준(중산중, 1) ITQ 파워포인트 B 진 정 훈 (주엽초, 5) B 장 하 은 (발산중, 1) C 성 은 석 (주엽초, 5) C 양 현 민 (주엽초, 5) C 이 현 규 (주엽초, 6) C 김 현 진 (다솜초, 6) 컴친구 공부방 더보기
[책소개]공부매니저 부모가 시험 잘 보는 아이로 키운다 영재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주변 환경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이다. 영재가 되지 못할 정도로 나쁜 머리를 타고난 아이들은 없다. 아이들 사이에 개인차가 있기는 하지만, 아이들 각자가 나름대로 무한한 잠재적 가능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다만 그것이 너무 독특한 방식으로 표현되어서 잘 감지되지 못할 뿐이다. 아이의 가능성이 제대로 실현되려면, 무엇보다도 아이가 자신의 능력을 스스로 믿을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그 능력을 사용하는 것이 '재미 있다’는 사실을 편하게 느낄 수 있어야 한다. 그래서 공부의 재미에 자연스럽게 빠질 수 있어야 한다. 바로 이것이 아이의 잠재력이 가장 크게 발휘되는 경로이다. 그런데 유감스럽게도 대부분의 아이들은, 어른들의 조급증 때문에 자신들이 얼마나 대단한 사람인가를 알지 못한다. 또.. 더보기